전북자치도, 지역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무자 교육 실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71회 작성일 25-04-28 10:14관련링크
본문
전북자치도, 지역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무자 교육 실시

전북특별자치도는 관내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에서 생산되는 제품에 대한 공공기관의 우선구매 확대를 위한 실무자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25일 전북도청 공연장에서 진행되었으며, 공공기관 구매·계약 담당자 500여 명을 대상으로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 교육을 실시했다.
이 행사는 보건복지부가 주관하고, 전북자치도와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가 공동 주최해
이번 행사는 25일 전북도청 공연장에서 진행되었으며, 공공기관 구매·계약 담당자 500여 명을 대상으로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 교육을 실시했다.
이 행사는 보건복지부가 주관하고, 전북자치도와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가 공동 주최해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에서 생산되는 제품에 대한 공공기관의 우선구매 확대가 핵심 주제로 다뤄졌다.
주요 내용은 2025년부터 중증장애인생산품의 법정 의무구매 비율이 기존 대비 상향(1.1%)되는 등 주요 제도 변화에 대해 안내됐다.
주요 내용은 2025년부터 중증장애인생산품의 법정 의무구매 비율이 기존 대비 상향(1.1%)되는 등 주요 제도 변화에 대해 안내됐다.
또한, △우선구매 제도 개요 △구매 절차 △활용 방법 등에 대한 실무 중심 교육이 함께 이뤄져, 참석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특히 교육과 함께 장애인생산품 전시·홍보 부스도 병행 운영되어, 참석자들이 제품을 직접 살펴보고 특장점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교육과 함께 장애인생산품 전시·홍보 부스도 병행 운영되어, 참석자들이 제품을 직접 살펴보고 특장점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제품에 대한 실질적인 관심과 향후 구매로의 연계 가능성을 높였다.
양수미 전북자치도 장애인복지정책과장은 “이번 교육을 통해 공공기관 실무자들의 인식이 변화하고, 그 관심이 실질적인 구매로 이어지길 기대한다”며
양수미 전북자치도 장애인복지정책과장은 “이번 교육을 통해 공공기관 실무자들의 인식이 변화하고, 그 관심이 실질적인 구매로 이어지길 기대한다”며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는 단순한 물품 구매가 아니라 장애인들에게 더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자립의 기반을 만드는 사회적 투자이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북자치도에는 현재 장애인직업재활시설 31개소와 장애인생산품 판매시설 1개소가 소재하고 있고 복사용지, 행정봉투 등
한편, 전북자치도에는 현재 장애인직업재활시설 31개소와 장애인생산품 판매시설 1개소가 소재하고 있고 복사용지, 행정봉투 등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